내 자산은 대한민국의 몇%일까? 대한민국 자산 수준 총 정리

2023. 5. 1. 21:27생활정보

반응형

돈을 벌면서 내 자산은 대한민국 평균의 어디에 속할까라고 생각 한 번쯤은 해보시지 않으셨나요?

 

코인, 주식으로 젊은 부자들 또한 많아졌다고 하는 말도 많이 들리고요.

 

대한민국 자산 평균과 내 자산은 상위 몇%에 속하는지 알아볼게요. 

 

1. 대한민국 자산 평균

 

통계청에서는 매년 가계금융복지 조사를 실시하는데요

 

자산, 부채, 소득, 지출 등을 통해 재무건전성을 파악하고 경제적 삶의 수준 및 변화 등을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통계청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22년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자산 평균은 5억 4,772만 원 이었다고 해요.

 

총자산은 21년도 대비해서 약 9프로 정도 상승했다고 해요.

 

그중에서도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으로 쪼갤 수 있는데요.

 

실물자산은 4억 2,646만 원 // 금융자산은 1억 2,126만 원이라고 합니다.

 

2. 대한민국 순자산 평균

 

자산은 부채와 순자산을 합친용어를 의미하는데요. 자산 평균 5억 4,772만 원 역시 부채가 포함된 금액입니다.

 

부채 평균은 9,170만원으로 순자산 평균액은 4억 5,602만 원이 됩니다.

 

3. 내 자산이면 대한민국 상위 몇 프로?

 

내가 만약 1~2억 사이라면 위에를 총 더한 퍼센트 상위 70.6%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5억 4,772만원 평균이 위치한 곳은 상위 27 퍼인데요.

 

10억 이상 자산가들 때문에 평균값이 올라갔다고 할 수 있겠네요.

 

자산 지표 _ 출처 통계청

 

4. 코인, 주식 등으로 젊은 부자들이 많아졌다는 게 사실일까?

 

자산 증가율만 보면 29세 이하 청년들의 자산이 크게 늘어난 걸 볼 수 있는데요.

 

자산 증가율 _ 통계청

 

자산은 부채 + 순자산이라는 점 기억하시죠? 29세 이하는 그만큼 부채도 크게 증가한 걸로 볼 수 있는데요.

 

순자산이 늘어났다고 보기는 힘드네요.

 

자산, 부채 증가율 _ 통계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