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으로 부터 몸, 환경 보호하기 (종이컵, 일회용기, 인공눈물 등등)

2023. 5. 5. 22:44생활정보

반응형

환경을 위해서 플라스틱, 종이컵등을 규제를 많이 하는데요.

 

이러한 제품이 우리 건강과도 아주 직결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리 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떤 제품 사용을 조심해야 되는지 알아볼게요.

 

1. 미세 플라스틱이란?

나노 플라스틱은 100nm 미만의 아주 작은 플라스틱으로, 5um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보다도 작습니다.

 

나노라는 단위는 1m를 약 10억 개로 자른 것 중 하나로, 우리 인체 내 세포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크기입니다.

 

엄청 작기 때문에 우리 몸 어디에도 돌아다닐 수 있고 심지어 장기, 혈액 속에서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은 하수처리 시설에서도 거르지 못한다고 합니다. 바다로 흘러나가도 문제라는 말이죠.

 

그보다 작은 초미세플라스틱들은 몸에 유입 후 체외 배출이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플라스틱

 

1-1. 미세 플라스틱 섭취 (종이컵)

성인기준으로 한 달에 신용카드 한 장 양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다고 해요.

 

단순 플라스틱용기에만 미세 플라스틱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우리가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종이컵을 통해서 미세 플라스틱을 상당량 섭취하고 있다고 해요.

 

종이컵은 폴리에틸렌으로 코팅이 돼있으며, 뜨거운 1L당 조 단위의 나노 플라스틱이 나온다 해요.

 

연구 결과에 따르면 종이컵에 22℃의 물을 약 1L 부었을 때 약 2조 8천억 개 나노 플라스틱이 나오고,

 

100℃의 물을 약 1L 부었을 때 약 5조 1천억 개 나노 플라스틱이 나온다고 합니다.

 

1-2. 미세 플라스틱 섭취 (티백)

일회용 티백에는 플라스틱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데요.

 

삼각형 티백이 튼튼한 재질로 차를 우리다가 터질 위험이 일반 티백보다 적기 때문에

 

삼각형 티백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삼각형 티백은 폴리프로필렌 소재가 주로 쓰이는데요

 

끈 달린 티백의 대부분도 폴리프로필렌 소재가 사용되게 됩니다.

 

그 결과 물에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다량으로 섞일 수 가 있겠죠

 

연구 결과에 따르면 티백 1개 끓일때 116억 개의 메스플라스틱과 31억 개 나노플라스틱이 방출되었다고 합니다.

 

플라스틱 섭취를 막기 위해서 다회용 티백 사용하기를 권장드립니다.

 

1-3. 미세 플라스틱 섭취 (소고기)

고기자체에는 플라스틱이 없지만, 판매되는 플라스틱 용기의 핏물 흡수패드에 미세플라스틱이 나온다고 해요.

 

고기가 닿는 곳은 부직포로 포장되고, 그 안에 SAP라고 하는 고흡수성 수지에서 미스플라스틱이 나온다고 합니다.

 

그리고 플라스틱 포장재로 된 가죽 사료 샘플에서는 PVCP와 PE가 검출됐다고 합니다. 

 

PVCP와 PE는 포장 용기, 비닐봍우, 랩의 원료로 사용되는 물질입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고기, 돼지고기 ,유제품 다량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고 합니다.

 

섬유질을 포함하는 풀과 같은 자연사료에서는 플라스틱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플라스틱 포장이 주원인으로 보입니다.

 

1-4. 미세 플라스틱 섭취 (천일염, 생선, 해산물)

바다에 있는 식재료도 예외가 아닌데요.

 

먹는 것 이외에도, 해안 미세플라스틱의 35%는 합성섬유 의류 세탁 시 플라스틱이 배출된다고 해요.

 

세탁기를 돌리면 돌릴수록 미세플라스틱이 점점 바다로 많이 가고 있다는 거죠.

 

1-5. 미세 플라스틱 간접 접촉 (인공 눈물)

인공눈물 용기 개봉 시 LDPE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LD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라고 하는데요.

 

눈에 들어간 미세플라스틱은 해부학 구조 상 눈 뒤로는 넘어가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눈에는 눈물구멍이 존재하는데요. 이 눈물구멍을 통해서 우리 인체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처음 한 두 방울은 눈에 넣지 말고 버리고 사용하길 바랍니다.

 

2. 미세 플라스틱 인체에 끼치는 영향

암세포 성장 전이를 가속화시키고 , 항암제 내성까지 일으킨다고 합니다.

 

여자 아이들 경우 생리나 임신에 영향을 주고, 남자아이들 같은 경우 정자 생성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합니다.

 

3. 글을 마무리하면서

미세플라스틱 섭취하는 것을 완전히 줄일 수는 없지만 최대한 피하도록 노력해야겠죠?

 

지구를 위해서도 내 건강을 위해서라도 일회용품을 줄이고, 생활 속 플라스틱을 사용을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간혹 사용하더라도 플라스틱용기에 뜨거운 음식이나 물은 담지 말고,

 

전자레인지 사용 시에는 비닐을 제거하고 전자레인지 용기를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플라스틱 용기에 뜨거운 물을 부을 경우 그렇지 않는경우보다 100배 이상 높게 나왔다고 합니다.

 

편리한 습관들을 버리는 게 미세플라스틱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2023.05.05 - [생활정보] - 치킨 과연 안전할까? 새로운 관점에서 치킨 닭 분석 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