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이 중요한 이유, 자도 자도 피곤할 때는 어떻게 해야 될까?

2023. 5. 27. 03:38생활정보

반응형

수면욕구는 인간의 3대 욕구 중에서 하나로, 잠을 재우지 않는 고문이 가장 고통스럽다고도 하는데요.

 

때로는 잠자는 것이 시간이 아깝게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잠을 잘 자는 것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잠은 왜 자야 할까?

잠을 자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회복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피로가 회복될 뿐 아니라, 장기, 신경, 세포가 회복되는 시간입니다.

 

살면서 1/3의 시간을 잠을 자는데 시간을 보내는데요.

 

잠자는 시간이 아까워서, 잠은 죽어서 자야 된다는 농담 식으로 많이 얘기하는데요.

 

우리 몸은 오랫동안 잘 사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회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잠은 중요합니다.

 

짱구

 

2. 잠을 충분히 자지 않는다면?

1) 집중력이 떨어진다.

 

잠을 자지 못하면 피로가 누적되어, 피곤함을 느끼는데요.

 

피곤함은 결국 집중력 저하로 이어지게 됩니다.

 

2) 실수가 잦아진다.

 

집중력 저하는 잦은 실수를 하게 만드는데요.

 

인간관계 혹은 직장생활에서도 실수가 잦아진다면 살아가는데도 굉장히 치명적이게 됩니다.

 

3) 기억력이 떨어진다.

 

잠을 자는 동안 우리의 뇌는 쉬게 되는데요. 

 

체중의 약 2%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 뇌는, 우리 열량의 20% 이상을 소모한다고 해요.

 

또한, 새로운 학습을 할 때는 추가적으로 200칼로리가 더 소비하게 된다고 합니다.

 

뇌뿐만 아니라 장기들도 휴식을 취하지 못했으니,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4) 판단력이 흐려진다.

 

판단력이 흐려지기 때문에, 사고로 쉽게 이어질 수 있는데요.

 

이 부분은 실수가 잦은 부분이랑 연관이 되는데요.

 

판단력이 흐려져 실수가 발생하고, 그 실수로 인하여 다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잠을 자지 못한다면 초기 몇 번은 괜찮더라도 , 계속 누적이 된다면 치명적인 결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드라마, TV에서도 살인적인 근무 스케줄로 인하여 과로사로 사망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요.

 

워커홀릭의 모습은 멋있어 보일 수 있지만, 때로는 너무 과해도 안 되는 것 같습니다.

 

3. 잠의 단계

잠의 단계는 3단계로 나뉠 수 있는데요.

 

1) 잠이 들려는 상태

 

2) 램수면 (얕은 잠 상태)

 

자율신경계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근육의 긴장이 이완되며, 틀어진 근육을 바로 잡는 효과를 받습니다.

 

낮에 활동량이 많을수록 밤에도 많이 뒤척인다고 해요.

 

꿈도 감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램 수면을 통해 쌓인 감정, 상처받은 감정을 치유하는 시간을 가지게 됩니다.

 

단순히 우리의 몸만 회복하는 시간이 아닌, 마음과 감정까지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낮 동안 활동하고 학습한 정보를 해마에 저장하는 시간인데요.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에게도 잠을 충분히 자는 것은 너무나 중요한 것이죠.

 

3) 숙면 단계 (깊은 잠 상태)

 

신진대사 활동이 감소하고, 낮에 고갈된 신경 전달 물질을 재충전, 여러 가지 호르몬 분비를 하는 시간입니다.

 

4. 잠에서 깬 직후 더 피곤함을 느끼는 이유

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더 피곤하게 느껴지는 날이 있고 엄청 개운하게 일어나는 날이 있는데요.

 

그 이유는 수면 패턴에 있습니다. 우리의 수면 패턴은 위에 언급한 것처럼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요.

 

잠을 자는 동안 얕은 잠 깊은 잠의 단계를 반복하게 되는데요.

 

반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서 잠이 깨야 하는데, 알람, 주위 환겨에 의한 기상은

 

깬 직후 더 피곤하게 느껴지게 만들게 합니다.

 

잠은 결국 욕구 중 하나이기 때문에 충족이 되지 않으면 짜증을 느끼게 됩니다.

 

밥 먹고 씻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잠이 깨지만, 몸은 기억을 하기 때문에

 

몸이 무겁게 느껴지고, 낮에 졸게 만듭니다.

 

5. 어떻게 자느냐가 훨씬 더 중요

1) 정말 중요한 멜라토닌, 성장호르몬

 

잠에 들고 난 뒤에 깊은 잠이 들 때까지 약 1시간 30분에서 2시간의 시간이 드는데요.

 

이때 멜라토닌, 성장호르몬이 분비가 되는데요. 

 

멜라토닌은 정말 중요한 역할은 하는데요.

 

멜라토닌이 분비가 되어야 밤에 이루어져야 할 몸 대사들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결국 회복이 가능해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성장호르몬 역시 중요한데요.

 

어린아이들에게는 성장을 유도하는 역할을,

 

성인에게는 건강 되돌려주는 회춘호르몬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또한, 몸 자체를 치유하는 면역력을 높여줍니다.

 

멜라토닌, 성장호르몬은 잠을 잘 때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낮에 햇볕을 쬐어 줄수록 많이 분비됩니다.

 

낮에 햇빛을 쬐지 않을수록 우울증에 빠지기 쉬운데요.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이 불면증도 함께 동반하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2) 잠자는 습관

 

잠을 자는 시간과 깨는 시간이 일정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자는 시간은 일정하게 맞추기 힘들지만, 일어나는 시간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요.

 

일어나는 시간을 잘 지키면 생활리듬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수면시간이 적어서 힘들다고 하면, 낮에 30분 정도 휴식을 취하여 몸을 회복시켜 주는 것도 좋습니다.

 

6. 숙면에 도움이 되는 식품

우선 자도 자도 졸리다고 하면 영양 불균형을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주로 비타민과 미네랄의 부족이 졸리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신선한 과일, 채소 그리고 섭취하기 어렵다면 종합비타민을 섭취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우유, 바나나는 멜라토닌의 원료가 되는 트립토판이 풍부하기 때문에 숙면에 도움을 줍니다.

 

7. 글을 마치면서

잠을 잘 자면 하루의 시작이 달라지는데요.

 

악기도 사용하고 나면 조율을 해야 되는 것처럼,

 

사람도 잠을 자면서 몸의 항상성을 통해서 끊임없이 회복을 하며 조율을 해야 합니다.

 

결국 잠을 잘 자야 키도 크고, 건강 또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모두 건강한 수면 습관을 가지도록 노력해 봅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