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여름마다 괴롭게 하는 모기 멸종 시키기 과연 가능할까?

2023. 5. 25. 22:39생활정보

반응형

모기는 매년 여름마다 나타나서 저희를 괴롭히는 존재인데요.

 

모기가 없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모기 멸종 가능할까?

 

1. 모기

모기는 지구에서 3,500여 종이 있을 만큼 되게 다양하고, 알에서 성충까지는 약 2주 정도가 걸린다고 해요.

 

성충의 수명은 1~2달이고, 2달을 생존한다는 가정하에 약 10번 알을 낳습니다.

 

1회에 약 155개를 낳는다고 하면 정말 엄청난 양이죠

 

모기의 암컷이 피를 흡입하는 이유는 알을 낳는 데 필요한 단백질을 공급하기 위해서인데요.

 

실제로 모기에 물리면 가렵고, 병을 옮기기도 하고, 잠도 못 자게 하기 때문에 

 

모기향, 모기를 막는 LED등 다양한 도구가 있는데요.

 

예전에 비하면 요즘은 모기가 많이 안보이는 것 같지만, 기후 변화때문에 겨울철에도 모기가 종종 보입니다.

 

매년 정부에서는 하수구, 지하 습한 곳 등 방역을 열심히 하는데요.

 

모기가 멸종한다면 모기 때문에 불편을 겪을 일 도 없겠죠?

 

2. 연약하지만 위험한 존재인 모기

모기는 생각보다 연약한 생물체입니다.

 

방향 전환이 좀 자유롭지만 빠르지 않고, 선풍기만 약하게 틀어놔도 바람에 날아가게 됩니다.

 

알을 낳는 시기가 되면 암컷 모기들의 일부가 와서 피를 빨게 되는데요.

 

피를 빨고 모기 입에서 피가 응고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하루딘이라는 항응고제를 투입하게 됩니다.

 

그 하루딘 물질이 물린 부위에 간지러움을 유발하게 됩니다.

 

하지만, 간지러움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에도 노출이 되는데요.

 

말라리아, 일본 뇌염등 심각한 전염병도 모기를 매개해서 만들어지는데요.

 

모기를 통해서 말라리아가 옮기기 때문에 실제로 가장 많은 인류를 죽인 존재라고도 할 수 있겠죠.

 

3. 모기가 의외로 도움이 되는 곳도 있다??

카카오 열매는 우리가 쉽게 볼 수 있는 초콜릿의 재료인데요.

 

모기는 카카오 열매를 수분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나쁜 점만 있는 것 같은 모기가 이로운 점도 있다니 놀랍네요

 

4. 모기를 멸종시키는 기술

뱀, 바퀴벌레도 요즘 많이 줄었는데요. 

 

바퀴벌레를 순수 잡는 게 아닌, 서서히 효과가 드러나는 독 먹이를 먹입니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가서 토해낸 먹이 or 죽은 바퀴벌레를 다른 바퀴벌레들이 먹으면서 극한의 효과를 기대하는 거죠

 

마찬가지로, 보이는 모기만 잡게 된다면 당장 보이는 모기는 줄일 수 있겠지만, 개체수를 줄이는 데는 효과가 없습니다.

 

모기를 멸종시키는 기술로 떠오르는 것은 유전자 조작입니다.

 

방사선으로 수컷 모기를 불임을 만든 다음에 놔주거나 or 수컷 모기만 나올 수 있도록 유전자 조작을 합니다.

 

암컷 모기만 피를 빨기 때문에 , 피를 빠는 암컷 모기 개체수가 줄어들고, 후손이 나오지 않게 되겠죠.

 

5. 모기의 멸종이 실제로 어려운 이유

1) 실제로 모기의 종류 수는 아직 정확하게 파악이 안 되어 있습니다.

 

기존에 사람을 무는 암컷 모기는 제한이 되어있습니다.

 

모기 중에서는 식물의 수분을 도와주는 모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요.

 

만약에 피를 빠는 모기들이 사라지게 되면 돌연변이가 생길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는데요.

 

2) 사람이 없는 시베리아 같은 지역에서도 여름만 되면 모기가 어마어마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사람이 없는 지역이더라도 말, 소등 동물의 피를 빨면서 살고 있습니다.

 

유전자 조작한 모기를 풀더라도, 사람이 없는 지역에는 어떻게 할까라는 의문이 생기게 됩니다.

 

방대한 돈과 환경적인 오염까지 필요하기 때문이죠.

 

멸종을 시키려고 하면 돌연변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관리를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현실적인 대책으로 보입니다.

 

 

 

 

 

 

 

 

 

 

 

 

 

반응형